본인은 이런 일을 이해할 수가 없다.
처음 재건축 수주할 때 간과 쓸개를 모두 내어줄 것처럼 접근해서 계약을 했으면, 끝까지 책임지고 가야 하는 것 아닌가?
마포구 재건축의 재건축은 아예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고, 원베일리는 입주가 미뤄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인플레이션이 피크를 치면서 이로 인한 모든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
어제 올린 글을 참고하자면, 사실 월급 빼고 다 오른 상황이다.
https://slim-economy.tistory.com/137
그렇다고 계약서 도장 찍은 공사현장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제도의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신입사원 초봉 순위 그리고 고찰
연봉 순위에 대한 표가 돌아다녀서 잠시 글을 적어본다. 역시 통신사, 금융권, 대기업이다. 국내 대기업을 다니고 있는 본인으로서는 SK에너지의 근속연수가 눈에 띈다. 평균근속연수일 텐데 21.5
slim-economy.tistory.com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42430?cds=news_my
강남 재건축도 공사비 탓에 ‘멈칫’
서울 아파트 재건축 공사현장이 멈춰 섰습니다. 자잿값과 인건비가 크게 올랐으니 이를 반영해달라는 시공사와 처음 계약대로 하자는 조합 측이 맞서고 있는 겁니다. 그 속 사정을, 이민준 기자
n.news.naver.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 2023년 임대 소득세 변경 안 (0) | 2023.01.24 |
---|---|
[한국 경제 기사] 반포 자이 전세 5억원 대 거래의 전말 (0) | 2023.01.23 |
[단독] 둔촌 주공 정당 계약률, 예비 순번으로 역산 결과 67.53% (by 디지털 타임스, 월용 청약 연구소) (0) | 2023.01.20 |
[스크랩] HUG 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이행 1편 (0) | 2023.01.20 |
[공감] ”2주택 탈출하고 싶어요“ 또 포기했다 [정원우의 부동산 라이브] (0) | 2023.01.20 |